홈주소창 로그인 회원가입 내 한글주소 관리 고객만족센터 토론게시판 사이트맵 고객 지킴이
/ 마케팅자료실 / 한글인터넷주소 / 한글인터넷주소 발자취!
 
한글인터넷주소
  한글주소 등록비용이
비싸다구요?
  한글주소와 키워드광고
비교
  한글주소의 경제적 가치
  인터넷주소의 발전방향
  한글인터넷주소 발자취
  한글인터넷주소의
정보화와 세계화
  주요 행정기관 한글
인터넷주소 등록현황
  한글인터넷주소 표준
넷피아 방식으로 확정
  미래 인터넷 40년은
자국어인터넷주소에서!
네임서버 설치하기
자국어인터넷주소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 동참현황
한글e메일주소
한글인터넷주소 홍보방법
넷피아 메일진(NABI)
넷피아 UCC
자주 묻는 질문과 답변
고객 문의 게시판
넷피아는 세종대왕의 훈민정음 창제 이후 가장 혁명적인 일로 평가받고 있는 '한글인터넷주소'를 성공적으로 개발하여 보급해 왔습니다. 그 동안 수많은 역경과 좌절에도 굴복하지 않고 사명감을 바탕으로 국내 시장에서 사용자 표준이 된 한글인터넷주소를 바탕으로 95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모델을 구축하며 '자국어인터넷주소의 세계화'에 앞장서고 있습니다.
넷피아가 걸어온 발자취는 전세계 자국어인터넷주소의 역사입니다.

한글인터넷주소는 넷피아의 전신인 아이비아이 (IBI, Internet Business Institute)에서 시작되었습니다.
IBI는 1996년부터 인터넷이용자 저변확대를 위한 인터넷 무료 개통과 주요 일간지와 연계해 '기업 도메인네임 찾아주기 운동'을 전개하면서 도메인 전문기업으로 대내외적으로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이판정 사장은 도메인보급 운동의 성과를 인정받아 1997년부터 한국전산원 산하 'NIC Committee(인터넷주소 위원회)' 위원으로 활동하던 중 기존 영문도메인의 불편함을 절감하고 이를 대체할 서비스 개발에 착수한 결과 1997년 11월 한글인터넷주소 시스템의 기본 컨셉을 완성하였습니다.

1998년 기업부설연구소를 설립한 넷피아는 세계 최초로 개발한 한글인터넷주소 기술 보호를 위해 같은 해 2월 첫 특허를 출원했습니다. 이러한 결과에 힘입어 7월에는 한글인터넷주소 지원 응용프로그램인 웹에이 1.0을 개발하였고, 8월에는 네임서버 방식의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를 개발 완료하였습니다. 넷피아가 개발한 제3세대 인터넷 주소시스템은 1998년 11월 98산업대전을 통해 국내에서 소개되었으며 1999년 2월 싱가포르 APRICOT(Asia Pacific Regional Internet Conference on Operational Technologies)에서 네임서버 방식의 자국어인터넷주소를 발표하면서 세계에 알려지게 되었습니다.
마침내 1999년 9월 1일, 넷피아는 세계 최초로 한글인터넷주소 상용화 서비스를 시작하였습니다. 한글인터넷주소의 상용화는 우리의 원천기술로 신산업을 만든 사례로, 국가기술적으로도 큰 의미를 담고 있습니다.

한글인터넷주소의 상용화 성공을 통해 넷피아는 급성장할 수 있었으나 , MS가 주요 주주사로 참여한 미국 기업 리얼네임즈가 2001년 1월부터 국내에서 HINC라는 등록대행사를 통해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를 실시함에 따라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는 위협을 받게 됩니다. 하지만, 2000년 8월 (주)하나로통신, (주)한국통신하이텔 등과의 제휴를 통해 네임서버 방식의 한글인터넷주소 사용자 기반을 확대하기 시작하였습니다.
이는 인터넷을 이용하는 고객들이 한글인터넷주소를 사용하기 위해 별도의 프로그램을 설치하지 않아도 영문도메인 주소처럼 한글인터넷주소 역시 표준인 네임서버 방식을 사용하는 것이므로, 프로그램 설치 없이 인터넷주소 창에 한글입력만으로 원하는 웹사이트를 찾아갈 수 있게 되었습니다. 이러한 제휴를 시작으로 넷피아는 2001년 3월에는 국내 초고속 사용자 기준 80%이상이라는 한글인터넷주소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게 되었습니다. 결국 사용자들은 기술적인 부분뿐만 아니라 편의성 측면에서도 리얼네임즈의 서비스보다 진보한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를 선택한 것입니다.

2001년 12월, '한국정보통신기술협회(TTA)'는 제25차 정보통신표준총회에서 넷피아가 서비스하는 방식인 ‘인터넷 키워드 서비스용 클라이언트 프로그램과 키워드네임 서버간 연결 방법 표준'(표준번호 TTAS.KO-10.0127)을 정보통신 단체표준으로 확정하였습니다.
2002년 7월, 첨예하게 대립하던 리얼네임즈가 MS와 계약 연장에 실패하여 파산함으로써 넷피아는 한글인터넷주소 시장의 천하통일을 이루게 됩니다. 이 때 넷피아는 국내에서 리얼네임즈 서비스를 대행하던 HINC 등록고객의 피해를 보호하기 위해, HINC가 등록받은 인터넷키워드를 전량 인수하였고, 넷피아의 한글인터넷주소 서비스는 사용자들에게 표준방식으로 자리잡게 되었습니다.





한글인터넷주소는 국내 대부분의 주요 기관 및 기업이 동참한 가운데 2003년에는 2,300만이 넘는 사용자 기반을 확보하여 국내 시장에서
표준 서비스로 자리매김하였습니다.
이를 바탕으로 넷피아는 전 세계 95개국 언어를 인터넷 주소화하여 자국어인터넷주소의 세계화 시대를 열고 있습니다.
2003년 8월 '2003년 대구 하계 유니버시아드'에서 세계 최초로 95개국 자국어인터넷주소 서비스를 선보인 후, 그 해 12월에는 UN산하 국제회의인 WSIS(정보화사회 세계정상회의)에서 자국어인터넷주소 솔루션을 발표했습니다. 2004년 3월에는 불가리아 자국어인터넷주소 시범서비스를 개통한데 이어 10월에는 ITU-T 세계통신표준총회(WTSA)에서 넷피아의 자국어인터넷주소(Native Language Internet Address, NLIA)가 공식 이슈로 선정되어 ITU-T 측으로부터 세계 표준화 추진을 제안 받는 등 성공적인 국제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2005년 4월에는 터키 현지 기업체와 터키어인터넷주소 서비스 제공을 위한 Netpia-Turkey를 설립하였습니다. 터키어인터넷주소 상용화는 유럽과 아시아 진출을 위한 교두보 역할을 할 것이며, 넷피아는 자국어인터넷주소의 활발한 보급을 통해 글로벌 넷피아 역사를 새로이 써 나갈 것입니다.

 
한국어EnglishJapanese 제휴제안 인재채용 서비스 약관 및 정책 개인정보처리방침 책임한계 및 법적 고지 이메일무단수집 거부
대표전화 : 02-3665-0123   고객상담 : 02-2165-3000   FAX : 02-2671-5613   e메일 : 고객상담@넷피아콥
개인정보 악용 신고 : reportabuse@ibi.net Copyright (C) 1995 - 2025 Netpia, Inc. All rights reserved.